농산물품질관리원 유기농 인증번호 조회
운영자
0
9138
2012.11.22 19:12
농산물품질관리원 유기농 인증번호 조회
늘봄농장 유기농 10-23-1-23
노란색의 번호를 복사해서 아래 사이트에 인증번호란에 붙여넣고 조회하시면 나옵니다
http://www.enviagro.go.kr/portal/info/info_certifi_ok.jsp




비고
- 천연·자연·무공해·저공해·내추럴(Natural)등 소비자에게 혼동을 초래할 수 있는 강조 표시를 하지 아니할 것
- 토양이 아닌 시설 또는 배지에서 작물을 재배하디 공급하지 아니하고 자연용수에 용존한 물질에 의존하여 재배한 농산물은 양액재배농산물 또는 수경재배농산물로 별도 표시 할 것
- 유기로 전환중인 경우 표지문자의 뒤에 전환기를 표시 할 것
01.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란?
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친환경농산물을 전문인증기관이 엄격한 기준으로 선별.검사하여 정부가 그 안전성을 인증해주는 제도입니다.
02. 친환경농산물이란?
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금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및 사료첨가제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거나, 최소량 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을 말합니다.
03. 친환경농산물 관리
토양과 물은 물론 생육과 수확 등 생산 및 출하단계에서 인증기준을 준수 했는지의 엄격한 품질 검사와 시중 유통품에 대해서도 허위표시를 하거나 규정을 지키지 않는 인증품이 없도록 철저한 사후관리를 하고 있습니다.
04.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및 기준
친환경농산물 인증 종류(3종류) - 유기농산물, 무농약농산물, 저농약농산물
* 축산물도 새로운 인증기준을 마련하여 인증을 받게 됩니다. - 유기축산물, 무항생제축산물로 표기 가능
종류 | 기준 |
---|---|
유기농산물 |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재배 (전환기간 : 다년생 작물은 3년, 그 외 작물은 2년) 유기축산물은 유기축산물 인증기준에 맞게 재배, 생산된 [유기사료] 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|
무농약농산물 | 유기합성농약은 일체 사용하지 않고,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/3 이내 사용 무항생제축산물은 항생.항균제 등이 첨가되지않은 [일반사료]를 급여하면서 인증 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|
저농약농산물 | 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1/2이내 사용하고 농약 살포횟수는 “농약안전사용기준”의 1/2 이하 사용시기는 안전사용기준 시기의 2배수 적용 - 제초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함 - 잔류농약 :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“농산물의 농약잔류 허용기준”의 1/2이하 |